2010.06.03 19:04
Step 1. 설치하기
요놈을 설치하시려면 밑의 링크로가셔서 사용환경에 맞는 설치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해주시면됩니당.
http://www.stellarium.org
그러나, 심각한 문제가 한가지 있는데요, 위의 사진과는 달리 한글화 패치를 하지않으면
글씨가 모두 깨져버립니다 ;ㅅ;
그래서 마련한 방안이 있습니다!! ㅇㅅㅇ
1.우선 스텔라리움을 설치한 폴더를 열어주세요(설치시에 변경하지 않으셨다면 기본적으로 c:\program files\stellarium\data 일겁니다.)
2.그리고, 한글 글꼴을 가져오기 위해 c:/\WINDOWS\fonts (시작 - 실행 에 붙여넣으세요)
로 들어가셔서 마음에 드는 글꼴을 복사해주시구요(truetype이 파일명에 붙어있는걸로....)
3.위의 그림에서 선택되어 있는 파일을 지우고, 아까 복사한 글꼴파일을 붙여넣어 줍시다.
4.복사한 글꼴파일의 이름을 DejaVuSans(원래존재했던 글꼴파일 이름으로 바꾸어야 프로그램이 인식을 합니다. 꼭 필요한 작업이오니 유의!!!) 로 바꾸어 주세요.
5. 끝
2. 사용하기
자, 기나긴 설치작업이 끝나고 (;ㅅ;) 스텔라리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봅시다.
㈀ ㈁ ㈂ ㈃ [실행시킨 초기화면]
실행시킨후 왼쪽하단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여러가지 메뉴들이 뜰겁니다. 지금 사진은 완전한 초기화면은 아니구요,
하단메뉴의 첫번째 버튼인 별자리 잇기 기능을 사용한 장면이랍니다 ㅇㅅㅇ
[(ㄱ)번의 기능을 사용한 예] (그림의 중간쯤에 보이는 밝은 선은 지구의 테두리입니다...)
제가 주로 사용하는 기능은 (ㄱ),(ㄴ),(ㄷ),(ㄹ) 의 네가지 인데요, 북반구의 별 뿐만 아니라 남반구의 별을 한꺼번에 보기위해서 (ㄱ) 번을 사용하면 땅이 없어집니다 ;ㅅ; 사용해보시면 아시겠지만 매우 재미있답니다 +.+
(ㄴ)은 별을 표시할지를 결정하는 기능이구요, (ㄷ)은 대기의 여부를 결정합니다.(지금 대기때문데 빛이 산란되서 푸르게 보이지 않습니까? 대기를 없애면 저 멀리의 별들까지 훤히 다 보입니다 .)
(ㄹ) 은 선택한 별로 중심점을 옮겨주는 건데요, 성단찾을때나 성운 찾을 때 특히 유리합니다. F3을 눌러 별이름이나 메시아번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찾아지긴 하지만, 가끔식 중심점이 맞지않아 확대하기 불편하다 하실때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.
[안드로메다 은하] (저 별들 하나하나가 전부 개념일까요... ;ㅅ;)
[화성] (태양계 내의 천체는 이렇게 3d로 보실수 있습니다. 태양계 밖의 천체는.... 보시면 압니다.)
이상으로 스텔라리움에 관한 포스팅을 종료합니다 ;ㅅ;
'쪼꼬★의 자료창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천문] 스텔라리움 이용하기!/스텔라리움 설치 + 한글패치(?!) + 기본 사용방법 ㅇㅅㅇ (0) | 2010.06.03 |
---|---|
[Kongregate] 콩그리게이트란 사이트를 아시나요? (1) | 2010.06.02 |